BANDITRAZOS NEWS

아르헨티나·이탈리아에서 고국 찾은 조각가들

[앵커]

코로나 사태 속에 이역만리에서 창작활동을 해온 작가들이 잇따라 고국에서 전시회를 열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에 정착한 김윤신 원로 조각가가 7년 만에 국내 개인전에 들어갔고, 이탈리아에서 활동하는 정득용 조각가도 첫 국내 전시를 열었습니다.


김태현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한국·아르헨티나 수교 60주년 기념 김윤신 초대전 '지금 이 순간' / 8월 7일까지 / 갤러리 반디트라소]


80대 후반의 노작가는 코로나19 속에서도 창작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사는 1세대 조각가 김윤신이 7년 만에 한국 개인전을 열고 최근의 회화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자신만의 기법으로 '찰나'와 '하나'에 몰두해 탄생시킨 '지금 이 순간' 연작입니다.


캔버스에 붓으로 밑칠을 한 뒤 아크릴 물감을 나무 조각에 묻혀 하나하나 선을 그려 넣었습니다.


우주와 자연, 인간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담아냈습니다.


[김윤신 / 한국 1세대 조각가 : 칠할 때 그 밑에 칠해진 것은 없어져요. 위에 칠하면. 그게 생멸하고 똑같은 거예요. 우주 만물의 자연적인 생멸과 같은 기법이라고 나는 생각해요.]


풍부한 나무에 매료돼 1980년대 아르헨티나에 정착한 작가는 2008년 그곳에 자신의 이름을 딴 미술관도 열었습니다.


코로나19로 목재 확보가 어려워지자 재활용 나무로 조각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오래 천착해온 '합이합일, 분이분일'이라는 조각 연작은 '하나'에 집중하는 작가의 생각을 구현했습니다.


[정득용 개인전 '생각하는 내가 있기 이전에' / 7월 24일까지 / 스튜디오 디바인]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20년간 활동 중인 정득용 조각가는 첫 한국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두상 조각의 일부를 샌딩 머신으로 갈아내 석고 형상과 사라진 부분의 기하학적 면이 조합된 작품이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정득용 / 조각가 : 유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석고상들을 제가 작업실에 가지고 와서 샌딩 머신으로 지우면서 나타나는 결과물을 기록한 작품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코로나19가 퍼질 때는 드로잉으로 창작을 이어갔습니다.


전시 제목은 생각하는 존재 자체를 스스로 비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부를 비움으로써 본질에 다가설 수 있다는 '생각의 소거'가 핵심을 이룹니다.


YTN 김태현입니다.


김태현 기자

Contact Us

Full Name

Name is required.

E-mail

Please enter a valid Email.

Phone Number

Please enter a valid Phone Number.

Attachable files are pdf, docx, doc, ppt, pptx, hwp, txt, zip, gif, jpg, jpeg, png. You cannot attach files larger than 10MB.

Please enter at least 20 characters.